최근 정부와 지자체가 추진 중인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제도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에너지 요금, 임대료, 사회보험료 등 다양한 경영비용 부담을 덜기 위한 정책으로, 일정 기준을 충족한 소상공인에게 포인트 형태의 ‘크레딧’을 지급해 실제 경영 안정에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신청방법과 자격 조건, 필요 서류, 신청 절차를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1️⃣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이란?
‘부담경감크레딧’은 정부가 소상공인의 고정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한 지원제도입니다. 지원금 형태가 아닌, 세금·공과금·보험료 납부 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크레딧) 로 지급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이 포인트는 일정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요금·4대 보험료 납부, 공공요금 일부 항목 결제 등에 적용됩니다.
2️⃣ 지원대상
- 사업자등록 후 1년 이상 영업 중인 소상공인
- 상시 근로자 5인 이하(제조업은 10인 이하)
- 최근 1년간 매출 10억 원 이하
- 국세·지방세 체납이 없을 것
-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타 유사 지원사업과 중복지원 불가
특히, 사회보험료·전기요금 부담이 높은 음식점, 미용업, 소매업, 숙박업, 서비스업 등이 주요 대상입니다.
3️⃣ 신청 기간 및 방법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은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 모집하며,
보통 중소벤처기업부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 신청 단계
- 소상공인정책자금 홈페이지 접속
→ https://ols.sbiz.or.kr/ - 본인인증 후 사업자 등록번호 입력
- ‘부담경감크레딧 신청’ 메뉴 선택
- 기본정보 및 매출자료 입력
- 필요서류 업로드 후 신청 완료
4️⃣ 준비서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최근 1년간 부가세 과세표준증명원
-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 전기요금·임대료 납부 증빙자료
- 대표자 신분증 사본
※ 모든 서류는 PDF 파일 형태로 제출해야 하며, 위·변조 시 지원이 취소됩니다.
5️⃣ 지급 방식 및 사용처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면 1인당 최대 200만 원 한도 내에서 크레딧이 지급됩니다.
이 금액은 전기요금, 수도요금, 4대 보험료 등 공공요금 결제 시 자동으로 차감되며, 지정된 기간(보통 6개월) 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 소멸됩니다.
주요 사용처 예시:
- 한국전력 사이버지점 (전기요금 납부)
- 4대 보험 고지서 납부 시 자동 차감
- 지방세 납부 고지서 내 ‘정부부담경감’ 항목
6️⃣ 유의사항
- 허위 서류 제출 시 추후 지원금 환수 및 법적 처벌 가능
- 신청 완료 후 30일 이내 결과 발표
- 1인 사업자는 실제 사업장 운영 여부를 현장 점검할 수 있음
- 중복 신청 불가 (다른 정부지원사업 참여 시 제외 가능)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은 단순한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성을 장기적으로 높이는 제도입니다.
특히 전기요금이나 사회보험료 부담이 큰 업종이라면, 이번 기회를 통해 꼭 신청해 보세요.
👉 지금 바로 소상공인정책자금 포털에 접속해 신청하면, 불필요한 경영비용을 줄이고 더 큰 안정적인 사업 운영이 가능합니다.